폐암ㆍ담도암 최신 치료 임상 결과, 미국임상암학회에서 발표
연세대암병원 조병철ㆍ유창훈 서울아산병원 교수
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장대영)는 최근 온라인으로 개최된 미국임상암학회(ASCO)에서 소속 원들이 주연구자로 참여한 연구 결과 35건을 포함해 국내 연구자들의 발표가 총 260건 진행됐다고 밝혔다. 장대영 회장은 “항암요법연구회를 해 주요 암종과 희귀암 연구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고, 이번 ASCO에서 주목받는 연구데이터를 낼 수있었다”라고 말했다.
조병철 교수, 내성 획득 폐암에 관한 신약 임상 결과 구연 발표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폐암 분과 연구진인 조병철 교수(연세암병원 종양내과)는 EGFR 돌연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레이저티닙(lazertinib)과 아미반타맙(amivantamab) 병합요법의 안전성 및 효과를 연구한 1상연구(CHRYSALIS)를 구연 발표했다.
현재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오시머티닙(osimertinib)이 표준 치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환자는 내성으로 인해 질병 진행을 경험하게 되며, 이 경우 기존 세포독성항암제 치료 외에 뚜렷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오시머티닙 투약 후 질병 진행을 경험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에서 레이저티닙과 아미반타맙의 조합은 36%의 객관적 반응률(Object Response Rate, ORR), 64%의 질병 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 4.9개월의 무진행 생존기간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 세포독성항암화학제 치료와 비교할 때 효능 및 안전성의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유창훈 교수, 담도암 2차 치료에 대한 2상 임상 연구 발표
담도암은 조기진단이 어려운 암 중 하나로, 진단 당시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가 된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아 기존의 표준 항암치료를 하더라도 중앙 생존기간이 1년을 넘기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표준 1차요법인 ‘젬시타빈(gemcitabine)+시스플라틴(cisplatin)’ 병합요법에 종양이 진행을 한 환자들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기반 항암요법의 생존기간은 대략 5-6개월로 알려져 있고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요법이 없었다.
유창훈 교수(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가 이번 ASCO에서 발표한 연구는 췌장암에서 사용되는 나노리포좀이리노테칸(nano-liposomal irinotecan)과 ‘플루오로우라실+류코보린’을 병용하는 담도암의 2차요법으로, ‘플루오로우라실+류코보린’ 단독요법과 비교한 한국 다기관 2상 임상연구이다. 174명의 환자가 등록됐고 무진행생존기간(7.1개월 vs 1.4개월), 전체 생존기간(8.6개월 vs 5.5개월)에서 기존 치료 대비 더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였다.
유 교수는 “담도암은 희귀암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유병율이 높아 이번에 발표한 국내 연구자 주도 2상 임상 시험 결과가 더욱 의미가 있다”며 “특히 진행성 담도암 2차 요법에서 새로운 표준 요법을 기대할 만한 강력한 근거가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