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환자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 질환
대한신장학회 20년간 조사...투석환자 사망률은 현저히 낮아지는 추세
우리나라 투석환자의 사망 원인 중 심혈관 질환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의 절반 가까운 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감염(22.9%), 암(5.2%), 간질환 (2.3%) 순이었다.
대한신장학회(이사장 양철우,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등록위원회는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에 등록된 14만9947명의 혈액투석·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2001년~2019년의 사망률 변화와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를 2021년 3월 대한신장학회지에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투석 방법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000명/년 기준으로 122.5명에서 45.2명으로 현저하게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혈액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19.3명에서 45.1명으로, 복막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21.6명에서 51.3명으로 감소했다.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꾸준히 증가해 2001년에는 혈액투석 69%, 복막투석 52.4%였으나 2013년에는 혈액투석 77%, 복막투석 71.5%로 나타났다.
2019년 말기신부전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은 심혈관질환(47.0%)이었고, 심혈관질환은 지난 20년간 줄곧 국내 말기신부전 환자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심혈관질환 중에서는 부정맥, 심장판막질환, 심부전 등의 심질환이나 심정지에 의한 사망 비율이 심근경색, 협심증 등 허혈성 심질환의 비율보다 높았다.
연구 분석을 주도한 홍유아(가톨릭의대 대전성모병원) 교수는 “투석환자의 생존율은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심혈관계 합병증은 해결해야 할 숙제라는 것을 이번 연구에서 확인했다”며 ““투석치료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당뇨, 고혈압, 고지질혈증등) 뿐 아니라 투석 치료와 관련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요독증, 혈관 석회와, 대사성산증)를 동반하고 있어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적극적으로 조절하려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최근 SCIE에 등재된 대한신장학회 공식 영문학술지 Kidney Research Clinical Practice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