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전이ㆍ사망 위험 높이는 위험인자 규명
서울성모병원 윤창익 교수팀 "YAP1의 작용이 유방암에 큰 영향"
유방암의 전이와 사망 위험을 높이는 단백질 ‘YAP1’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서울성모병원 유방외과 윤창익 교수 연구팀이 여성 유방암 환자 482명을 대상으로 유방암 조직에서 YAP1(Yes-Associated Protein 1)이 발현되는 정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세포핵 내 YAP1 발현이 높은 환자는 낮은 환자에 비해 원격 전이 위험 2.27배, 사망 위험 3.86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YAP1 유전자는 인간 장기의 발달과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암세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불명확했다.
연구팀은 특히 예후가 좋지 않은 삼중음성유방암에서도 세포핵 내 YAP1 발현이 높은 환자가 낮은 환자에 비해 원격 전이의 발생 위험이 2.38배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높은 YAP1의 발현은 다른 유방암 전이의 위험인자를 보정한 뒤에도 여전히 독립적인 전이의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유방암은 수술 뒤 방사선치료, 항암치료, 항호르몬 치료 등 재발 관리를 위한 여러 치료가 필요하다.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90% 이상으로 높은 편이지만, 병기에 따라 재발 위험이 있고 다른 암과는 달리 5년 후에도 재발할 수 있다.
윤창익 교수는 "YAP1 단백질을 치료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예후가 좋지 않은 삼중음성유방암을 포함한 유방암에서 전이를 억제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온콜로지(frontiers in oncology)’ 2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