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 표적치료 쉬워지는 검사법 나왔다
GC녹십자지놈 "상동재조합결핍 정확한 확인 가능해져"
난소암 표적치료가 새로운 검사 방법으로 좀더 쉽고 정확해지게 됐다. 신규 난소암 표적치료 지표인 ‘상동재조합결핍(HRD)’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가 국내 최초로 출시된 것.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GC녹십자지놈(대표 기창석)은 26일 "난소암 환자의 표적항암제 처방을 위한 상동재조합결핍(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 이하 HRD) 검사 ‘HRD Test’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난소암은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여러 여성암 중에서도 특히 예후가 나쁜 암. 특히 종양 제거 후 항암요법을 진행한 환자 중 5년 이내 재발률이 7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난소암의 치료 성적을 개선시켜줄 표적치료제로 최근 PARP(Poly ADP Ribose Polymerase) 억제제가 큰 각광을 받고 있다. PARP 억제제의 효과는 BRCA1, BRCA2 변이가 확인된 환자 혹은 HRD가 확인된 환자에서 그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상동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 HR)은 인체에서 DNA 양가닥절단을 복구하는 메카니즘으로, HR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BRCA1, BRCA2의 기능 상실이 HRD의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져 있다. HRD Test는 BRCA1, BRCA2 변이에 대한 검사를 포함하며, 추가로 HRD의 결과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 유전체 불안정성(Genomic instability)을 측정함으로써, BRCA1, BRCA2 변이와 HRD를 높은 정확도로 측정하는 검사다.
기존 검사의 경우 진행성 난소암 환자의 양성률이 22%에 불과한데, HRD Test는 전체 진행성 난소암 환자에서의 양성률이 50%에 달한다는 것이GC녹십자지놈 측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