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황사·꽃가루... 봄철 알레르기 주의보
결막염ㆍ비염 등 예방ㆍ치료법
꽃피는 계절 봄이 왔지만 반갑지만은 않다. 봄만 되면 기승을 부리는 황사와 미세먼지, 꽃가루가 눈과 코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결막염과 비염 등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알레르기 질환은 방치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초기에 잡아야 한다. 봄철 알레르기 예방법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눈 따끔거리고 가렵다면 결막염 의심
봄철 알레르기 대표 질환으로 결막염과 비염이 있다. 알레르기 질환은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환절기에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봄에는 미세먼지와 황사, 꽃가루가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유발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매년 약 180만 명이다. 월별 환자 통계를 보면 3~5월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을 감싸고 있는 결막에 알레르기로 인해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눈물이 자주 나고 눈 주위가 가려운 증상으로 이물감, 가려움, 충혈, 눈곱, 시린 증상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눈부심, 시력저하가 나타나기도 한다.
꽃가루나 미세먼지, 황사로 눈이 간질간질하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이 들면 식염수나 인공눈물로 눈을 씻어내도록 한다. 또 각막에 상처가 나기 쉬워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을 쓰는 것이 좋지만,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일회용 렌즈 착용 후 버리는 것이 좋다. 외출 후 집에 들어오기 전에 옷에 붙어있는 먼지나 꽃가루 등을 털어내고 몸에 닿지 않게 바로 세탁한다. 또 외출 후 집안에 들어오면 바로 샤워를 통해 오염 물질을 씻어내도록 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이 생기면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거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등을 사용해 치료할 수 있다. 병원에서 안약 처방만 받아도 증상이 빠르게 완화돼 1~2주면 완치될 수 있다. 눈이 가려울 때는 비비지 말고 냉찜질을 하면 도움이 된다. 또 인공눈물을 냉장실에 넣었다가 점안하는 것도 좋다.
알레르기성 비염, 완치 어렵고 재발 잘돼
알레르기성 비염은 황사,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이물질이 코 점막을 자극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재채기가 연거푸 나며 맑은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착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감기와 달리 발열 증상이 없고 지속기간이 길다. 이 외에도 눈의 충혈 및 눈․코 주위 가려움, 후각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축농증, 중이염, 인후두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이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일반적인 치료법은 항히스타민제와 콧속에 뿌리는 비강 스테로이드제 등을 이용해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지만 약물에 따른 부작용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 환자의 증상에 따라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요법이나 고주파 비염 수술 등도 고려할 수 있다.
일상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청소, 세탁, 환기를 자주 하고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하기 쉬운 카펫이나 담요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원인 물질이 제거되지 않으면 재발하기 쉽다. 따라서 다양한 검사를 통해 원인물질을 찾아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