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득 연세암병원 교수, 비뇨기암 로봇수술 5000건 돌파
아시아 최초, 세계 다섯번째...환자 맞춤형으로 수술 시간도 20분
연세암병원 최영득 비뇨기과 교수(사진)가 아시아 최초, 세계 다섯번째로 비뇨기암 로봇수술 5000회를 돌파했다.
연세암병원에 따르면 최교수는 지난 1월 62세 노모 씨에게 000번째로 비뇨기암 로봇수술을 시행했다. 노씨는 특별한 부작용 없이 수술 이틀 뒤 퇴원했다.
최 교수가 로봇 수술을 처음 한 것은 2005년이며 지난 2월말까지 5049건의 로봇 수술을 진행했다. 5000건 중 전립선암 수술이 85%로 가장 많았다. 로봇수술을 받은 전립선암 환자의 70% 정도가 고위험군이었으며, 그 중 80%가 3기 이상이었다.
전립선은 골반 뼈 안쪽에 있어 암 조직이 뼈에 가려져 수술이 힘들다. 수술 후 요실금이나 성기능장애 등 부작용이 생기기도 쉽다. 로봇수술은 골반 뼈 안쪽까지 카메라가 들어가기 때문에 암 발생 부위를 10배 확대해 볼 수 있다. 주변 신경과 혈관을 살려 성기능을 유지하고 배뇨 관련 조직을 최대한 보존해 요실금을 예방하는 효과가 좋다. 수술 중 출혈량도 적다.
최 교수는 환자별로 다양한 암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감안해 환자 상태에 따라 맟춤형 수술법을 개발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립선암 로봇 수술은 복강으로 로봇팔을 넣어 수술하는 반면, 최 교수는 복강내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막 외 접근을 시도한다. 배꼽 아래 부분과 방광 위 사이의 공간에 로봇팔을 넣어 전립선암을 수술하는 방법이다.
최교수는 20여 종류의 환자 맟춤형 로봇 전립선 적출술로 생존기간도 늘리고 있다. 암이 뼈로 전이돼 수술이 힘든 진행성 전립선암도 로봇수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암 조직을 제거하면서 요도 조직과 성 신경은 최대한 남기는 ‘요도-신경-혈관 보존 로봇 적출술’을 개발했다.
최 교수는 1~2시간 정도 걸리는 로봇 수술을 20여분으로 단축했다. 환자에 맞춤형 수술 방식을 적용하고 복막 외 접근, 짧은 수술시간으로 수술 부작용도 최소화하고 있다. 그는 "전립선암 수술은 로봇수술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다"며 "다양한 수술기법과 경험,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수술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