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치료 시 환자 삶의 질 적극 고려해야"

한국노바티스, 의사-환자 설문조사..."환자들 느끼는 피로 훨씬 심각"

2021-02-24     주혜진 기자

국내 혈액종양내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서 의료진은면역성 혈소판 감소증이 환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한 치료가 필요하다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혈소판 수치가 감소해 혈액응고가 되지 않는 혈액질환이다. , 출혈이 특징이며 일부 환자에서는 심각한 출혈이 나타난다.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12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은 피로감을 포함해 다양한 측면에서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해하고 일상생활을 힘들게 한다.

한국노바티스가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는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글로벌 질환 인식 캠페인인 I-WISH(ITP World Impact Survey)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글로벌 I-WISh 설문조사는 13개국 1507명의면역성 혈소판 감소증환자와 472명의 의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환자들은 가장 심각하고 흔한 증상의 하나로 피로감을 꼽았으며, 의사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환자들이 느끼는 피로감이 훨씬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혈액종양내과 의사 28명이 참여한 조사에서 93%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의료진이 생각하는환자가 가장 해결하고 싶어 하는 증상 불안정한 혈소판 수치에 대한 걱정(49%) 출혈(23%), , 피로감, 우울감 순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I-WISh 데이터를 이후 국내 의료진들은환자를 위한 의료진의 가장 소망으로 환자들이 안정적인 혈소판 수치를 장기간 유지하는 외에도 안정적인 정서 상태와 피로감을 포함한 증상개선을 통해 일상생활을 온전히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 삶의 질을 고려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부분에 공감했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장준호 교수는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들은 출혈 증상 외에도 치료 과정에서 가지게 되는 정서적 부담과 피로감, 그리고 우울감 삶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최근 레볼레이드와 같은 혈소판 수용체 작용제의 등장으로 효과 뿐만 아니라 환자 삶의 질을 고려한 치료가 가능해졌다 말했다.

한국노바티스 혈액암사업부 이현주 상무는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 치료에 있어 환자와 의료진들 사이에 인식 차이는 존재하지만 삶의 개선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있었다한국노바티스는 많은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들이 삶의 질이 개선될 있도록 치료제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국노바티스의면역성 혈소판 감소증치료제 레볼레이드(성분명: 엘트롬보팍 올라민)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성인 만성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 302명을 대상으로 EXTEND 임상연구를 실시, ‘환자 삶의 개선 대한 하위분석연구를 통해 삶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신체정신적 건강상태(SF-36v2), ▲동기부여와 활력(MEI-SF), ▲피로 증상(FACIT-F), ▲출혈과 멍의 위험성 이러한 증상이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 평가(FACT-Th6) 4개의 삶의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볼레이드로 치료한 환자의 80% 1 이내에 삶의 개선을 경험했으며, 5년에 걸쳐 피로, 출혈, , 신체 건강상태 등의 개선 효과가 지속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