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정보-사망통계 활용, 폐암 치료효과 분석
국립암센터-통계청 등 협력 추진
암 환자 정보와 인구 사망 통계를 결합해 암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데이터 결합이 처음으로 시도된다. 국립암센터 암빅데이터센터에서 확보한 7만5000여명의 폐암 환자 임상 데이터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청구자료, 통계청의 사망자료 등을 결합해 암 치료의 효과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그동안 각각 다른 기관에서 정리 관리되던 자료들이 익명을 전제로 통합돼 국민건강에 기여하는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국립암센터는 시범사례를 통해 가명정보 결합 절차 하나하나를 자세하게 정리해 공유할 방침.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가명정보 실습을 위한 테스트베드 운영, 지역단위 가명정보 활용 지원센터 설립, 매칭지원 시스템 구축, 가명정보 전문인재 양성 프로그램 신설 등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6일 국립암센터를 방문해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데이터결합 과정을 살폈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간담회에서 결합 시범과제의 추진성과를 점검하고 올해 가명정보의 활용 정책방향을 소개했다.
국립암센터는 국내 사망원인 1위인 암에 대한 연구·치료·정책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개인정보위와 관계기관이 공동 추진하고 있는 가명정보 결합 시범사례 중 2개 과제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의료 정보와 인구 정보를 결합해 암 질병의 치료효과 분석과 암 환자의 합병증·만성질환을 예측하는 연구다. 이번 시범과제는 가명처리된 사망정보를 암 정보와 결합하는 최초 사례다. 암 환자 20만명의 다양한 변수를 결합해 실증분석하게 된다.
최귀선 암빅데이터센터장은 "대형 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빅데이터의 80%가 기술적, 법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버려지고 있는데, 데이터 3법 개정에 따라 보건의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이번 결합은 임상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의 첫 결합 시도사례로, 향후 데이터 가치를 새로 발견하고 활용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