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심장 초음파도 건강보험 혜택... 2021년 바뀌는 의료-복지 제도

중증아토피 환자부담율 10%...영유아 국가검진 실시

2021-01-11     최윤호 기자

새해부터는 심장, 유방 초음파 검사도 건강보험이 적용돼 검사를 받는 사람의 비용이 크게 준다. 그동안 부양가족이 있으면 생계급여를 못 받았던 노인·한부모 가구의 경우 올해부터는 부양가족이 있어도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 교육부 등 정부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의결을 거쳐 올해부터 2023년까지 시행되는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에 따라 이같은 정책이 시행된다.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 올해 달라지는 보건, 복지, 의료제도 관련 사항들을 소개한다. 

새해부터 기초생활보장제도상 생계급여 조건이 바뀌어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생계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게 되는 등 보건복지의료 관련 새롭게 시행되는 제도들이 많다. / xframe

▶심장·유방 초음파 건강보험 적용 확대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에 따라 올해 상반기에는 흉부(유방) 초음파 검사, 하반기에는 심장 초음파 검사에 건강보험이 각각 확대 적용된다. 기존에는 4대 중증질환자(암, 심장, 뇌혈관, 희귀난치) 의심자 및 확진자 등에게만 보험이 적용됐다.

▶건강보험 산정특례 대상 질환 확대 =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희귀·중증난치 질환에 대해서는 진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건강보험 산정특례’ 제도가 확대 적용된다. 원추각막, 무뇌수두증 등 68개 희귀질환과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이 산정특례 대상 질환으로 신규 지정돼 진료비 본인부담률이 입원·외래 모두 10%로 낮아진다.

▶기초생활보장제도상 생계급여 = 그동안 노인·한부모 가구에 1촌의 직계혈족이나 배우자 등 '부양할 수 있는 가족'이 있으면 수급자로 선정되지 못했는데, 이 기준이 올래부터 폐지되었다. 그래서 부양가족이 있다는 이유로 급여를 받지 못했거나, 부양의무자의 부양 능력 없음을 입증해야 하는 부담 때문에 주저했던 약 15만7000가구가 새로 수급대상이 된다. 기존 수급자 3만 가구에 대해서도 추가 지원이 이뤄질 전망. 다만, 부양의무자의 연 소득이 1억원 이상이거나 9억원이 넘는 부동산 재산이 있으면 대상에서 제외된다. 2022년부터는 모든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할 예정. 신규 지원대상이 된 가구는 주민등록상 주소지 소재 주민센터에 신청하면 된다. 

1월부터 영유아 초기 검진이 시행되는 등 국가검진제도가 개선되는 등 다양한 의료제도의 변화가 시행된다. / xframe

▶영유아 국가건강검진 개선 = 1월부터 영유아 초기(생후 14~35일) 검진이 신설된다. 전세대에 걸친 정신건강 위험도를 고려해 특정연령에만 받을 수 있었던 우울증 검사 주기를 '20~70세 각 연령대 1회'로 변경해 검사가 필요한 시기에 검진 받을 수 있게 됐다. 

▶필수의료서비스 협력 강화 =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권역 및 지역별 책임의료기관을 확대해 지역 내 필수의료서비스 협력을 강화한다.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 15개소, 지방의료원 등 지역책임의료기관 35개소를 중심으로 지역 내 진료협력 및 환자연계 등 국민의 생명, 건강과 직결된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거동불편 장애인 집에서 결핵검진 가능 = 새해부터 찾아가는 결핵검진 사업의 대상자에 ‘거동불편 장애인’도 포함된다. 기존에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와 재가와상노인, 노숙인에게 찾아가는 서비스가 제공됐다. 

▶동물보건사 제도 도입 = 동물간호 인력 수요 증가에 따라 양질의 동물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물보건사 제도가 도입된다. 동물보건사는 자격시험 등의 절차를 거쳐 2022년부터 동물보건사 자격증을 발급할 방침.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 제한적 허용 = 그동안 기능성 표시가 불가능했던 일반식품에도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를 사용하는 등 과학적 근거를 갖춘 경우에 기능성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의무화 = 어린이 급식의 위생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안전관리 수준도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모든 시·군·구에 '어린이 급식관리 지원센터' 설치를 의무화하고, 영양사를 두지 않은 소규모 어린이 급식소는 센터에 의무적으로 등록해 위생·영양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