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 말기 상황…알려야할까? 숨겨야할까?
서울대병원, 의사·일반인 설문조사...90%가 "말기인지 알고 싶다" 답변
중증 질환인 환자에게 말기인 상태를 알려야 할까, 아니면 숨겨야 할까. 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발표됐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이들 중 90%는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오시내·윤영호 교수팀은 전국의 의사 928명과 일반인 1005명을 대상으로 본인이 환자라고 가정해 말기 예후 관련 설문 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말기 예후를 알고 싶다고 응답한 이들 중 의사는 장기부전(심부전, 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콩팥병, 간경변 등) 99.0%, 치료 불가능한 유전성 또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같은 신경계 질환 98.5%,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 98.4%, 뇌경색 또는 파킨슨병 96.0%, 치매 89.6% 등의 질환을 앓고 있을 때 말기 여부를 알고 싶다고 답했다.
일반인은 장기부전 92.0%, 유전성/신경계 질환 92.5%, AIDS 91.5%, 뇌경색/파킨슨병 92.1%, 치매 86.9%라고 답했다.
일반인들은 의사들과 비교해 말기 예후 공개를 원하는 비율이 낮았다. 특히 본인이 환자일 때보다 가족이 환자라면 알려야 한다는 비율은 더 감소해 약 10% 차이를 보였다. 환자에게 말기 예후를 알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의사와 일반인 설문 전체에서 '환자가 본인의 상태를 알 권리'가 31.6%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또 일반인들은 '환자의 불안, 우울 등 심리적 부담(35.8%)', '환자의 희망 상실(21.2%)' 때문에 말기 예후를 알리고 싶지 않다고 응답했다.
오시내 교수는 “말기 예후를 미리 알려야 환자가 직접 연명의료 계획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등 향후 치료 관련 결정에 참여하도록 도울 수 있다”며 “앞으로 환자와 적절한 의논을 위한 최선의 방법과 시기를 찾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 학술지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