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대한민국…우울증 있으면 자살 위험 4배로 증가
서울아산병원, 국민 100만 명 데이터 분석
우울증 환자 국민의 5.3%…10년새 2배로 증가
우리나라 국민 100명 중 5명 이상은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우울증 환자들은 자살할 위험이 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용욱‧예방의학과 조민우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약 100만 명 이상의 진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표본 코호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가 약 5.3%였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의 각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들 중 연령과 상관없이 무작위로 101만여 명의 임상 데이터를 추출한 표본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국내 우울증 유병률, 우울증과 자살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02년에는 우울증 환자가 전체 표본 대비 약 2.8%로 나타났다. 10년 후인 2013년에는 약 5.3%로 약 2배로 유병률이 늘었다.
우울증이 있는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나눠 집단별로 자살률을 분석한 결과, 우울증 집단의 자살률이 약 3.8배 더 높았다. 자살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 알려진 성별, 나이, 소득 수준, 거주 지역에 따른 자살률도 분석했는데, 남성이거나 나이가 많을수록 자살 위험이 각각 약 2.5배,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과 거주 지역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남성의 약 3.9%, 여성의 약 6.8%가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우울증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증 환자의 비율도 증가했다. 20, 30대의 약 2.7%가 우울증이 있었던 반면 40, 50대는 약 5.7%, 60, 70대는 약 13.9%, 80대 이상은 약 18.4%가 우울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예방의학과 조민우 교수는 “전체 표본 집단 대비 우울증으로 새로 진단되는 환자들의 비율은 매년 비슷했지만, 전체 유병률은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이 잘 치료되지 않고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용욱 교수는 “불면증이 나타나거나 무기력함이 2주 이상 지속되는 등 우울감으로 인해 일상 생활이 힘들다고 느껴지면 전문의를 찾아 최대한 빨리 치료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