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등 암 환자 300만명의 데이터를 연계한 한국형 암(K-Cancer·이하 K-캔서) 통합데이터가 구축된다.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질병예측부터 진단, 치료, 사후관리 등에 이르는 전(全)주기별 의료 연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암, 심뇌혈관, 호흡기 질환 등 한국인 3대 사망원인 질환에 특화된 K-의료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K-캔서 설계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자료 보건복지부
자료 보건복지부

복지부는 전국 암 병원의 암 진료데이터, 건강검진 데이터, 유전체 데이터, 사망통계 등을 연계해 300만명 규모의 한국인 암 환자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데이터 구축 대상암은 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폐암, 유방암, 간암, 신장암, 취담도암, 혈액암, 전립선암 등 주요 10종 암이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K-캔서 통합 빅데이터 세부 설계를 위한 연구를 이달부터 추진하고 5월까지 K-캔서 통합 빅데이터 구축 설계를 완성할 계획. K-캔서 통합 빅데이터가 완성되면 의료기관,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등 기관별로 흩어진 약 300만 명의 암 환자 데이터가 연계‧결합돼 안전한 클라우드에 보관된다. 

K-캔서 통합 빅데이터는 국가 암 데이터 도서관으로서 다양한 연구에 사용된다. 앞으로는 암 진단 이전의 진료·검진 데이터, 사망데이터 등 암 관련 전주기 데이터를 통합해 암 예방·검진·진단·치료·예후·사망까지 장기추적 연구가 가능해진다.

자료 보건복지부
자료 보건복지부

복지부는 "통합 빅데이터를 통해 개인맞춤형 표적 항암제, 암 예방‧관리 인공지능, 암 진단 정밀의료기기 개발, 암 치료효과 비교검증, 항암제 부작용 최소화 등 암 진단‧치료 수준의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빅데이터 구축도 중요하지만 모인 데이터를 개방하여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2024년까지 전국 주요 암 병원 데이터를 포괄하는 K-캔서 통합 빅데이터를 완성해 의료계와 바이오헬스 산업계의 연구를 지원하고, 암 정복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